- Today
- Total
변화하는 계절처럼
완화곡선 Transition Curve 노선에 있어서 원곡선부와 직선부 사이에 설치되는 곡선. 차량이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로 갑자기 진입하면 원심력때문에 위험이 생긴다 그래서 곡률 반경을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직선과 원곡선을 잇는데 이에는 클로소이드, 3차 포물선, 렘니스케이트 등이 이용된다. 클로소이드 곡선 Clothoid Curve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변경과 곡선부 시점으로부터의 곡선 길이의 곱이 일정한 곡선. 고속도로 등의 직선부와 원호부를 잇는 완화곡선으로서 사용한다. A2=RL (즉, A의 제곱은 R과 L에 비례한다.) 3차 포물선 Cubic Parabola 완화곡선의 형태를 3차 포물선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주로 철도에 적용하고 있는 완화곡선이다. 렘니스케이트 Lemniscate 곡률반경이 현의..
간섭측위에 의한 위상차 측정방법 일중위상차 Single phase difference 간섭위치 결정의 기선해석 제1단계로 계산하는 양. 1개의 위성을 2대의 수신기로 관측한 각 위성 적산치의 차로 나타내어짐. 전자를 위성간 일중위차, 후자를 수신기간 일중위차. 위성궤도오차와 원자시계오차 소거, 수신기 시계오차 내제 이중위상차 Double phase difference 1중차끼리의 차이값 수신기 시계오차 소거, 모호정수 내제 삼중위상차 Triple phase difference 적분위상차 반송파의 모호정수 소거 결국 시험에 나오는게 제일 중요한거 아니겠습니까 ㅋㅋㅋㅋㅋ
과고감 Vertical Exaggeration 항공사진의 입체시(Stereopsis)에서 과장되어 보이는 정도. 한쌍의 사진을 입체시 할 때 대상물의 실제 기복보다 입체시된 모형에서 기복이 더 심해 보이는 현상으로 항공사진을 입체시하면 실제 모형보다 산이 더 높게 보인다. 낮고 평탄한 지역에서는 지형판도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사면의 경사 등이 실제보다 급하게 보이므로 오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인은 카메라 렌즈. 초점거리가 멀수록 초가 길게 보이게 된다. 실제 분석이나 측정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평평한 지역의 낮은 기복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너무 높은 과고감은 지형을 뾰족하게 만드는 등의 왜곡을 시키기도 한다. 입체시 Stereopsis, Stereoscop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