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Study/해양 (7)
변화하는 계절처럼
사진출저: 나무위키(https://namu.wiki/w/%EB%B8%8C%EB%A6%AC%EB%8B%88%ED%81%B4) 오늘 제가 들고온 이 신기한 사진은 태풍이나 용오름이 아닌 브리니클이라는 현상입니다. 가져온 저도 신기한데 브리니클이라는 이름은 고밀도 염수를 뜻하는 Brine과 고드름을 뜻하는 Icicle의 합성어 Brinicle 입니다. 이름에 생성원리가 나오듯이 고밀도 염수가 고드름처럼 어는 것입니다. 좀더 자세히 말하자면 극지방에서 해수가 얼어 빙하가 되면 염분은 따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이때 염분이 소금결정처럼 완전히 고체형태로 뚝 떨어져 나가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물과 함께 '고밀도 염수'가 되어 빠져나오는데 이 고밀도의 염수는 염분도도 주변보다 높지만 온도가 주변보다 훨씬 낮아 영하 4..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또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바다가 파란 이유는 뭘까요? 제가 최근 포스팅하는 대부분의 글이 그렇듯 이 포스트도 최근 누군가가 말한 바다가 파란 이유는 가시광선중 파란색을 띄는 파동을 '흡수'했기 때문이다 라는 말에서 시작됩니다.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을 무작정 믿을 게 아니라 한번더 생각해 봐야겠죠? 일단 저 문장은 제가 배운 빛의 성질대로라면 '틀린' 문장입니다. 어떤 부분이 틀린 것인지 알기위해 빛의 성질을 간단하게 나열해보겠습니다. 빛의 성질은 직진성, 반사, 굴절, 회절, 간섭 등으로 나타납니다. 혹은 여기에 분산, 합성, 산란 등의 성질을 추가하여 설명하기도 합니다. 다만 회절과 간섭의 경우 빛을 파동으로 보았을 때의 성질이므로 파동의 성질로써 이해하시는게 큰범위로 더..
망간단괴란 망간(Mn), 코발트(Co), 구리(Cu), 니켈(Ni) 이 주 구성원소인 둥근 형태의 광물덩어리를 말합니다. 주로 수심 4000미터 이상의 깊은 바다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심해저 망간단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망간단괴는 상업적으로 여러가지 가치를 지니는데 주요 구성물질이 경제적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정리해 보자면 망간(Mn): 스테인레스강 등의 합금에 주요 첨가물로 사용된다.(철강산업에 중요) 코발트(Co): 자석이나 강도높은 합금의 제조에 사용된다. 구리(Cu): 제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니켈(Ni): 동전의 재료!! 따라서 망간단괴는 자연스레 미래의 자원으로 주목받게 됩니다. 이때 "미래"의 자원으로 한정되는 이유는 현재 육상의 자원이 고갈되어간다고 이야기 ..
UUV Unmanned Underwater Vehicle - 무인잠수정 수중에서 군사적목적 및 해양환경 자료 수집, 수중 탐사 등 여러가지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ROV(원격조정형)와 AUV(자율형)로 구분지어진다. 여러 국가의 해군에서 기뢰의 탐색 및 제거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 중이며 일례로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에서 만든 REMUS는 16시간 이내에 1세제곱마일지역의 기뢰를 탐색, 제거하였으며 이는 다이버팀이 직접 작업시 21일 이상의 시간을 소요하는 양이다. 일반 잠수정(Underwater Vehicle)과 달리 사람이 타지 않기 때문에 수중 통신이 중요한데 전파나 광파는 수중통신으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음파만을 이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ROV Rem..
단일빔 음향측심기(SBES)는 음향측심기의 한 종류이다.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51241&cid=42341&categoryId=42341) 음향측심기란 음파를 이용해 수심을 측정하는 장비를 말하며 음향신호가 해저면에 닿고 반사되어 돌아오는데 걸린 시간과 수중의 음속을 이용해 수심을 계산한다. 음파의 수중 전파속도는 바닷물의 CTD(전기전도도, 온도, 밀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측정을 요하며 수중에서 보통 1500m/s 주변값을 가진다. 물의 깊이(수심)을 재거나 물고기 떼의 위치를 파악할 때, 해저지형을 측량할 때 사용된다. 구소련에서 사용되었던 음향측심기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18382..
일조부등 diurnal inequality 또는 daily inequality 반일주조의 바다에서 두번의 만조와 간조 중 한번은 크게, 한번은 작게 일어나는 현상. 두번의 만조와 두번의 간조 중 큰 만조는 고고조(HHW, higher high water), 작은 만조를 저고조(LHW, lower high water)라 하고 큰 간조를 저저조(LLW, lowwer low water), 작은 간조를 고저조(HLW, higher low water)라 한다. 일조부등이 가장 큰 시기의 조석을 회귀조라 하며, 가장 작은 시기의 조석을 분점조라 한다. 회귀조에서 달은 북 또는 남에 위치하여 불규칙적인 일조부등이 발생하는 때이며, 분점조는 달이 적도에 위치하여 힘이 균형적으로 작용하여 규칙적인 일조부등을 발생시키게 ..
탁도(turbidity) 단위 Turbiditymeters JTU - Jackson Turbidity units Jackson Candle Turbidimeter라는 장치를 이용해 측정하는 방식. 촛불위에 보정된 메스플라스크를 놓고 메스플라스크에 시료를 부어 촛불이 보이지 않는 최초시료량을 수치화 하는 것. 현재는 카올린 부유물로 만든 표준물질과 광도계를 응용한 기기적 탁도계를 이용하여 측정. 투과도를 관측하여 산란도를 유추, 역산하는 방식 25단위 이하의 탁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해내지 못함.(정밀도가 떨어짐?) NTU - Nephelometric Turbidity units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탁도계는 대부분 NTU단위. Nephelometer(네펠로미터) 시료를 중심각으로 광원과 검출기가 직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