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변화하는 계절처럼
탁도(turbidity) 단위 Turbiditymeters JTU - Jackson Turbidity units Jackson Candle Turbidimeter라는 장치를 이용해 측정하는 방식. 촛불위에 보정된 메스플라스크를 놓고 메스플라스크에 시료를 부어 촛불이 보이지 않는 최초시료량을 수치화 하는 것. 현재는 카올린 부유물로 만든 표준물질과 광도계를 응용한 기기적 탁도계를 이용하여 측정. 투과도를 관측하여 산란도를 유추, 역산하는 방식 25단위 이하의 탁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해내지 못함.(정밀도가 떨어짐?) NTU - Nephelometric Turbidity units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탁도계는 대부분 NTU단위. Nephelometer(네펠로미터) 시료를 중심각으로 광원과 검출기가 직각으로..
Hi. This is the ~~~~~~. I'm afraid I wasn't able to deliver your message to the following addresses. This is a permanent error; I've given up. Sorry it didn't work out. : User's Disk Quota Exceeded. Sorry, your message cannot be delivered as the recipient has exceeded. their disk space limit for email. See the copy of the mail header and refer to the "ATTMAIL.txt" attachment file. 안녕. 난 ~~~~다. 난..
기능사 시험을 열심히 공부해놓고 셤치러 안가서 실격입니다. 이노무 잠을 줄여야지... 이번 주말을 위해 오늘도 간단히 공부좀 하고 잡니다. 오늘은 오차에 대해 포스팅을 남기겠습니다. 오차의 원인 1. 기계적 오차 : 기계결함 등에 의한 오차입니다. 작업 전 충분히 점검하고 조정해야 합니다. 2. 자연적 오차 : 바람, 습도 등 자연 현상에 의한 오차입니다. 주로 우연오차의 원인이 되어 측량에 적합한 기상 조건하에서 측량하여 줄일 수 있습니다. 3. 개인적 오차 : 개인의 숙련정도나 습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스스로의 숙련도를 높여 교정가능합니다. 오차의 종류 1. 정오차 : 쉽게 말해 정해진 오차입니다. 일정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측적의 반복으로 누적됩니다. 따라서 누적오차라고 불리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