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측량기능사 (5)
변화하는 계절처럼
이번에 기능사시험을 치고 왔습니다. (사실 제가 필요해서가 아니라 회사에서 필요해서.... 저는 기사자격증이 있는걸요?..)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는 실기시험에서 필요한게 계산력(필답형)과 레벨,토탈스테이션(작업형)이었어요. 측량기능사는 필답형이 없이 작업형만 있는 대신 평판측량이 +a더군요. 그래서 시험을 치기위해 부랴부랴 평판측량에 대해 공부했던 것을 간략하게나마 정리해두려고 합니다. 사진 출처 : 토목용어사전(1997. 토목관련용어편판위원회) 네이버지식백과 평판측량은 말그대로 평판(평평한판?)을 이용하는 측량법입니다. 직접 현장에 나가 평판위에 도지를 붙이고 직접 측점의 위치를 기입한 후 지도를 그리는 방법입니다. 엘리데이드를 이용하여 선을 긋고 삼각자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등 직접 눈으로 손으..
기능사 시험을 열심히 공부해놓고 셤치러 안가서 실격입니다. 이노무 잠을 줄여야지... 이번 주말을 위해 오늘도 간단히 공부좀 하고 잡니다. 오늘은 오차에 대해 포스팅을 남기겠습니다. 오차의 원인 1. 기계적 오차 : 기계결함 등에 의한 오차입니다. 작업 전 충분히 점검하고 조정해야 합니다. 2. 자연적 오차 : 바람, 습도 등 자연 현상에 의한 오차입니다. 주로 우연오차의 원인이 되어 측량에 적합한 기상 조건하에서 측량하여 줄일 수 있습니다. 3. 개인적 오차 : 개인의 숙련정도나 습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스스로의 숙련도를 높여 교정가능합니다. 오차의 종류 1. 정오차 : 쉽게 말해 정해진 오차입니다. 일정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측적의 반복으로 누적됩니다. 따라서 누적오차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당장 내일이 시험이라도 오늘도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왜냐하면 제가 이 시험에 붙을 확률이 희박하기 때문이죠! 다음에 보고 공부하려구요 ㅋㅋㅋ 오늘은 지구의 형상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측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목적에 따라 지구의 형상을 단순화시키거나 반대로 정밀하게 만들어줄 필요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지구라는 거대한 땅을 측량하려면 지나가다 보이는 돌멩이 하나까지 생각하기보단 큼직하게 타원형으로 생각해주는게 편하겠죠? 그래서 분류하기를... 1. 지구 타원체는 지구의 형상과 가장 가까운 회전 타원체를 일컷는 말입니다. 지구는 남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적도부근이 살짝 부풀려진 회전타원체 입니다. 따라서 지구의 이심률과 편평률을 계산해주어야 하는데 이심률 => {루트(a제곱+b제곱)}/a..
어찌 얻은 측량기능사책으로 공부를 합니다... 개요만 봤는데 뭐 이리 시간이 후딱가버리나요 아마 며칠앞으로 다가온 시험때문이겠지요.... 기능사를 열심히 파고 그다음 기사도 치고... 전 아마 안될꺼같은데.. 그래도 해야겠습니다. 측량의 개요는 분류와 오차 등이 있습니다. 분류는 넓이에 따라, 법률에 따라, 측량기계에 따라 (몇가지 더 있지만 이 세가지에 집중하겠습니다.)하며 넓이에 따른 분류는 평면측량 : 평면으로 가정하여 측량한다(비교적 덜 정확함)[지름22km내] 측지측량 :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측량한다.(정밀도가 높음) 두가지로 분류됩니다. 법률에 따른 분류는 기본측량 :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하는 모든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 공공측량 : 공공기관이 사업등을 위한 목적으로 기본측량을 기초로 실시..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단지 필요에 의해 혹은 개인의 욕심에 의해 측량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그 첫날로 목표를 측량기능사로 잡고 시작하는 바입니다.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는 상태로 시작하기 때문에 상당히 기초적인것도 찾아보고 하느라 정말 오래오래 걸리겠지만 최대한 열심히 해볼 생각이예요. 측량기능사를 시작으로 할 생각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문제에 대한 풀이를 중점적으로 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네이버사전을 이용해서 공부할 예정이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부분들은 블로그 등 여러곳을 찾아다니며 알아본 후 알기쉽게 적어볼 생각입니다. 2015년 기출문제 기반 정리하기 1. 레벨을 세우는 횟수를 짝수로 하면 표척의 영점오차(눈금오차)를 없앨 수 있다. 1-1. 레벨이란? 아래 사진에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