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Today
- Total
변화하는 계절처럼
자연잔류자화의 종류와 설명 본문
자연잔류자화란 간단하게 자연적으로 잔류자기가 생기는 현상입니다. 아주 조금 길게 적어보자면 자연조건 하에서 암석이나 광물이 잔류자기를 얻는 현상입니다.
종류는 크게 등온잔류자화, 열잔류자화, 점성잔류자화, 퇴적잔류자화, 화학잔류자화로 5가지로 분류됩니다.
각각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종류는 크게 등온잔류자화, 열잔류자화, 점성잔류자화, 퇴적잔류자화, 화학잔류자화로 5가지로 분류됩니다.
각각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등온잔류자화 : 일정온도 하에서 짧은시간동안 존재하다가 없어지는 외부자기장에 의해 암석이 잔류자기를 얻는 현상.
열잔류자화 : 자성물질이 큐리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서서히 식어갈 때, 외부자기장에 의해 강하고 안정된 잔류자기를 얻는 현상.
점성잔류자화 : 등온잔류자화가 누적되어 잔류자기를 얻는 현상.
퇴적잔류자화 : 콜로이드상태의 세립질물질이 퇴적되면서 잔류자기를 얻는 현상.
화학잔류자화 : 큐리온도이하에서 화학작용에 의해 자성물질이 성장하거나 재결정되면서 잔류자기를 얻는 현상.
이 중, 고지자기 연구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강하고 안정된 잔류자기를 갖는 열잔류자화현상입니다. 고지자기 연구를 통해 대륙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ps. 응용지질기사에도 자주 출제되지만 해양자원개발기사에도 자주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지질학과 관련하여 꽤나 중요한 개념이니 간단하게라도 외우거나 이해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Study > 지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장석 <Plagioclase> (0) | 2018.11.10 |
---|---|
전기비저항탐사 (0) | 2018.06.24 |
하천의 분류(하성퇴적) (0) | 2018.01.24 |
광상과 광산은 다르다.(Deposit and mine are different.) (2) | 2018.01.14 |
화산이 폭발한다면? (2) | 2017.10.1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