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변화하는 계절처럼
수질오염물질과 그 배출원, 영향 및 처리법 본문
결국 1차시험은 실패했지만 뭐어때! 2차에 합격하면 되지.
기분좋게 아예 찬찬히 정리해도 좋을 것같다. 오늘 적어볼 것은 수질오염물질이다. 물환경보전법에 의하면 수질오염물질은
물환경보전법
|
|
라고 하며 제2조 7항에 나오는 환경부령에 따르면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시행 2018. 1. 18.] [환경부령 제745호, 2018. 1. 17., 일부개정]
![]() |
고 한다. 별표 2는 다음과 같다.
일단 수질오염물질이 이렇게 많다는 것이 매우 충격적이면서 동시에 더 많을 법도 한데 요정도구나? 싶기도 하다. 그러나 외워야하는 입장에서는 적다는 느낌보다 많다는 느낌이 더 강한 게 사실... 더군다나 수질오염물질의 경우 종류를 모두 외울 필요는 없....지 않고 외워야 하긴 한데 위에 나오는 34가지와 정의만 알면 끝이 아니라 몇몇 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경우에는 오염물질의 배출원, 피해, 영향, 처리법 등을 숙지해야 수질환경기사 시험에서 1~2문제를 건질 수 있다. 문제 100개 중에 이런식으로 확실하게 나오는 문제는 몇 없으니 꼭 외워서 놓치지 말아야 할 문제라고도 볼 수 있다. 위의 수질오염물질 종류 또는 정의는 5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에서 출제되며 아래의 오염물질의 배출원, 피해, 영향, 처리법 등은 1과목 수질오염개론에서 주로 출제된다. 처리법의 경우 3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과 4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과도 연결되므로 결국 파생되는 문제로 꽤나 많은 문제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기초라고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시 5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에서 각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초과배출 시 부과금 등 여러가지로 연결이 되니 사실 위에 나온 종류는 외우지 않아도 저절로 외워질 것이다.
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배출원, 피해 및 영향, 처리법을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오염물질 |
배출원 |
피해 및 영향 |
처리법 |
BOD(유기물질) |
도시하수, 낙농업, 식품공장 등 |
생태계교란, 악취유발 |
생물학적 처리 |
Cr과 그 화합물 (6가크롬) |
염색, 도료, 도금, 피혁제조 등 |
피부암, 피부염, 피부궤양 |
환원침전법, 이온교환법, 전해법 |
CN화합물 |
코크스공장, 도금 등 |
저산소증, 호흡곤란, 질식 산소 이용 저해 |
알칼리염소법, 오존산화법 |
PCB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
접착제, 인쇄잉크, 변압기 등 |
카네미유증, 식욕부진, 피로, 두통 |
용제추출법, 응집침전법, 방사선조사법, 흡착법 |
페놀 |
석유정제, 도로, 금속공장 등 |
염소소독시 클로로페놀(악취) |
생물학적 처리, 화학적처리 |
As과 그 화합물 |
의약품제조, 농약, 피혁제조 등 |
흑피증, 구토, 설사, 메스꺼움 |
수산화물공침법, 이온교환법 |
Cu과 그 화합물 |
전선제조, 도금, 광산 등 |
간경변, 윌슨병, 구리중독증 간 |
침전법, 이온교환법 |
Pb과 그 화합물 |
축전지제조, 안료 제조, 요업 등 |
빈혈, 두통, 식욕부진, 피로 |
침전법, 이온교환법 |
Mn과 그 화합물 |
건전지공장, 유리착색, 광산 등 |
파킨슨병 유사증상 *부족시 빈혈 |
침전법, 이온교환법 |
Cd과 그 화합물 |
정련, 도금, 석유화학공장 등 |
이타이이타이병, 골연화증 |
침전분리, 부상분리, 흡착법 |
Hg와 그 화합물 |
가성소다 제조, 정련, 농약광산 등 |
미나마타병, 헌터-루셀증 |
황화물침전법, 이온교환법, 아말감법, 흡착법 |
Zn과 그 화합물 |
아연공장, 정련, 맥기공장 등 |
구토, 발열 *부족시 소인증 유발 |
중화응집침전법, 이온교환법 |
F화합물 |
인산비료공장, 살충제공장 등 |
반상치 *부족시 충치유발 |
형석침전 |
부유물질 |
살충제제조, 탄광, 금속, 섬유 등 |
|
|
유기인 |
농약제조, 유기 합성화학, 비료제조 등 |
피부자극, 발광성 토물, 혈뇨 |
|
|
|
|
|
|
칸수계산을 잘못했네 |
칸수계산을 잘못했네 |
|
|
칸수계산을 잘못했네 |
칸수계산을 잘못했네 |
|
|
|
|
|
책과 인터넷을 뒤져 열심히 만든 표지만 여튼 기본적으로 오염물질에 따른 피해 및 영향을 아는 것이 1순위 이고 배출원을 아는 것도 역시 1순위이다. 처리법의 경우도 문제로 출제되긴 하지만 빈출도는 앞의 두가지가 더 높은듯(물론 5개회차밖에 안풀어봐서 정확하진 않음) 여튼 이렇게 정리해놓고 다음엔 내가 정리한거보고 공부좀 해야겠다. 매번 검색해서 맞고 틀리고 찾아다니는 것도 일이다... 책보고 책만 달달달 외워도 될 것같긴 하지만 또 사람일 모르는 거니까. 여튼 그렇다. 2차엔 꼭 좀 붙고 싶다.
'Study > 수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필기시험 접수 완료 (수질환경기사) (0) | 2019.03.31 |
---|---|
콜로이드 (친수성 vs 소수성) (0) | 2019.03.11 |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 수립 (물환경보전법 제4조의3) (0) | 2019.03.01 |
대권역 물환경관리계획(물환경보전법 제 24조) + 중권역, 소권역 (0) | 2019.03.01 |
수중 미생물의 산소에 따른 분류 (0) | 2019.02.08 |